[농림축산식품부] 2025 농촌공간계획 논문 공모전 수상후보작 공개 및 의견수렴
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어촌공사, (사)한국농촌계획학회가 주관하는 「2025 농촌공간계획 논문 공모전」의 수상후보작을 다음과 같이 공개하며, 공모전 수상후보작에 대하여 「행정기관의 공모전 운영에 관한 규정」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공개 검증을 실시합니다.
□ 검증대상
ㅇ 2025 농촌공간계획 논문 공모전 수상후보작 (총 10작품)
* 수상후보작 내역은 접수번호 순이며, 수상(예정) 등급과 무관함
- 학생부문(5편)
접수번호 | 제 목 | 저자명 |
2025-S-002 | 농촌 지역 공간압축 유도 기준에 관한 연구 | 오○○, 남○○ |
2025-S-005 | 기후위기 대응 농촌 무더위 쉼터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| 윤○○, 김○○ |
2025-S-012 | 농촌재생과 도시재생의 담론적 분화, 정책적 수렴에 대한 소고 | 정○○ |
2025-S-013 | 농촌공간재구조화법과 스마트농업법의 연계를 통한 ‘융합형 스마트 생활 단지’ 제안 | 나○○, 김○○, 박○○ |
2025-S-017 | 농촌공간 유형화분석 | 이○○ |
- 일반부문(5편)
접수번호 | 제 목 | 저자명 |
2025-G-003 | 폐교 시설의 미래 활용과 자율주행 모빌리티 통합을 통한 농촌 공간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| 김○ |
2025-G-009 |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상 '농촌특화지구' 지정의 행정법적 문 제점과 헌법적 정당성 확보 방안 연구 | 김○○, 김○○ |
2025-G-012 |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시행 초기 농촌특화지구 지정 프로세스 연구 | 지○○, 이○○ |
2025-G-017 | 농촌 정주환경의 미시적 공간격차와 정책효과 파급범위 분석 | 이○○, 배○○, 이○○ |
2025-G-020 | 실질 농경지 잠재소득(PAIF) 분석을 통한 농촌공간계획의 적용 가능성 연구 | 리○○, 조○○, 임○○ |
ㅇ 수상후보작 공개 링크: http://www.ksrp.or.kr/notice/view.asp?Key=77&main=&sub=
□ 검증내용
ㅇ 수상후보작에 대한 중복수상, 표절, 저작권 위반 등 부정행위 여부
※ 「행정기관의 공모전 운영에 관한 규정」(대통령령 제32628호, 2022. 5. 9. 제정) 제9조
□ 공개검증 참여 방법
ㅇ 제출방법: 부정행위에 해당하는 수상후보작에 대하여 (사)한국농촌계획학회 공모전 접수용 이메일(contest2025@ksrp.or.kr)로 의견접수
ㅇ 검증기간: ’25. 10. 24.(금) ~ 11. 3.(월) 18:00 (10일 이상 공개)
ㅇ 의견 신고(제보) 내용
① 접수자의 실명 및 연락처
② 작품번호/ 논문제목
③ 부정행위 내용 및 상세사유(표절 의혹, 연구윤리 위반, 자격 미충족, 기타 결격 사유 등)
④ 근거 또는 관련 증빙자료 (필요한 경우 링크·문헌 표기)
* 제출내용 4가지 모두 기재하여야 의견 검토 가능
□ 심사절차
| | 완료 | | | | | | 진행예정 | | | |
| | | | | | | | | | |
| | | | | | | | | | | |
| 사전심사 | ⇨ | 1차심사 | | | 공개검증 | ⇨ | 2차심사 | ⇨ | 수상작 발표 | |
| 심사위원별 개별 심사(비대면) 1차 심사 대상 20편 선정 | 사전심사 통과 논문 심사 심사위원회의 협의를 통한 수상후보작 선정 | | | 11월 3일 18:00까지 온라인 공개 및 의견 접수(10일 이상) | 11월 11일 까지 공개검증 의견에 대한 심사 최종수상작 결정 | ‘25. 11. 20 소통24 및 주관기관 홈페이지 | |
⇨ |
| |
| |
| | | | | | | | | | | |
ㅇ 사전심사 기준(접수논문 중 1차심사 대상 20편 선정)
평가 항목 | 배점 | 세부 기준 |
논문의 형식 | 25점 | • 제목의 명확성 및 적절성 |
• 요약의 완성도 |
• 서론의 논리적 구성 |
• 본론 및 결론의 체계성 |
논문 독창성 및 논리성 | 25점 | • 연구 주제의 참신성 |
• 논리 전개의 일관성 |
• 연구 가설의 타당성 |
학술 논문으로서 활용 가능성 | 50점 | • 학술적 기여도 |
• 실무 적용 가능성 |
• 후속 연구 가능성 |
합계 | 100점 | |
ㅇ 1차심사 기준(수상후보작 10편 선정)
평가 항목 | 배점 | 세부 기준 |
연구 주제의 창의성 및 적절성 | 25점 | • 주제의 독창성 |
• 시의성 및 중요성 |
• 연구 범위의 적절성 |
연구 내용 전개의 논리성 및 일관성 | 25점 | • 이론적 배경의 충실성 |
• 가설-분석-결론의 연계성 |
• 논증의 설득력 |
연구 방법의 타당성 및 적절성 | 25점 | • 연구설계의 적합성 |
• 자료수집 방법의 타당성 |
• 분석방법의 적절성 |
연구 결과의 활용성 및 기여도 | 25점 | • 학술적 기여도 |
• 정책적 시사점 |
• 실무 활용 가능성 |
합계 | 100점 | |
□ 기타
ㅇ 수상후보작은 공개 검증 목적 외 무단 사용 금지
ㅇ 제출 의견은 허위, 비방 게시 방지를 위하여 의견 제출자의 실명과 연락처 등 개인정보 수집·이용에 동의하며,
제출내용 4가지 모두 제출하여야 의견 검토가 가능
ㅇ 검증 기간(’25. 10. 24. ~ 11. 3. 18:00) 내 신고(제보)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사항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며,
공개 검증과 결격사유 조회 등을 거쳐 최종 수상작을 선정하고, 결격사유가 있는 논문은 수상이 취소될 수 있음.
ㅇ 최종 수상작은 공개 검증 이후 공모전 홈페이지(소통24 sotong.go.kr) 및 주관기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
ㅇ 제출 의견에 대해서는 별도 회신 없이 최종 수상작 결정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예정임.
* 첨부: 수상 후보작 전문